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목록
·
Review-Log/聽思聰
출처 ●베토벤의 피아노소나타 제1기 : 모방의 시기.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또는 스칼르라티 등 선배 음악가들의 영향을 받는 시기이다. 피아노 소나타 제 1번부터 제 11번까지 이에 속한다. 제2기 : 베토벤 음악적 감정이나 사상을 능동적으로 표출시킨다는 의미에서 외향화 시기(Period of Externalization)라고 불린다. 즉 투쟁을 통하여 심리적인 갈등을 해결하려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제12번 피아노 소나타부터 제28번 소나타까지가 이에 속한다. 제3기 : 내면화 시기(Period of Internalization)라고 불린다. 초월의 시기 즉 완벽한 평화를 성취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베토벤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를 모두 자신의 마음으로 받아 들여서 통괄하는 과정 즉 내면..
<경제수학> 자연로그를 취하는 이유
·
Learning-Log/Economics
간단히 축약하자면 1. 비선형적 데이터값을 선형함수로 나타내어 관계의 의미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 더 나아가 밀집된 데이터군집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보다 정밀하게 관찰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다른 블로거의 좋은 글"로써 대신함
그리스 문자 읽는 법 및 의미 (알파,베타,감마,델타 등)
·
Learning-Log/ETC
출처 (네이버 검색) 출처2 (네이버 검색) 고대그리스숫자들 입니다 α알파 (1을 뜻함) β베타 (집과 소를 뜻함) γ감마 ( 이공학 방면의 기호로 사용됨) δ델타 (4를 뜻함) ε엡실론 (임의의 작은 양수를 뜻함) ζ제타 (6을 뜻함) ή에타 (8을 뜻함) θ세타 (9를 뜻함) ι요타 (10을 뜻함) κ카파 (20을 뜻함) λ람다 (30을 뜻함) μ뮤 (40을 뜻함) ν뉴 (50을 뜻함) ξ크시 (60을 뜻함) ό오미크론 (70을 뜻함) π피=파이 (원주율 3.14로 쓰임)=3.141592...등등 ρ로 (물리학에서 물체의 밀도로 쓰임) Σ시그마 (200을 뜻함) τ타우 (300을 뜻함) Υ웁실론 (입자 물리학에서 입실론의 중간자로 나타냄)=원래 이름 입실론(입실론과 구분하기 위해 웁실론이라 표기) Φ..
선형효용함수,준선형효용함수
·
Learning-Log/Economics
*대전제 : 경제학에서 선형이라는 말은 1:1대응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그래프 개형이 일직'선 형'태일때를 지칭한다는 점을 밝힌다. 수학적 개념과 좀 다르다. ●선형함수 y=ax+b (단,a와 b는 상수)인 함수를 말한다. 즉 1차함수로서, 함수값y가 독립변수 x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를 가져 그래프가 직선의 형태로 나타나는 함수이다. (1차 함수라는 부분은 경제학 한정으로 생각해도 좋다. 수학적으로는 선형함수가 꼭 1차 함수일 필요는 없으므로..) ●선형효용함수 효용(함수값)에 대해 각 독립변수(X재, Y재)가 일정한 반응계수를 갖는 함수이다. 따라서 경제학적인 시각에서 정의하자면, 두 재화가 완전대체재 관계에 있어 무차별곡선이 선형으로 나타나는 효용함수체계를 말한다. ●준선형효용함수 1. 개념 효용(함수..
<스크랩> 소듐? 포타슘?
·
Learning-Log/ETC
http://naver.me/Fr405zSO
<재정학> 정부에 의한 공공재 공급의 문제점
·
Learning-Log/Economics
1.선호표출의 문제 시장실패를 해결하기위해 정부가 개입하더라도 진정한 선호에 비례하여 조세부담이 결정되는 이상 개인들은 선호표출을 하지 않음 따라서 수요표출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메커니즘으로 클라크 그로브즈 조세 T=cz-다른사람의선호 그러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많은 비용 정보가 필요. 재정불균형 로그롤링(담합에 의한 의사표명) 등의 문제가 발생 특히 허비쯔의 불가능성 정리에 따를때 공공재의 효율적 공급, 진정한 선호표출,재정균형을 동시에 달성하는 수요표출메커니즘은 불가능. 2.투표를 통한 공공재 공급량 결정 다수결에 의할때 선호가 단봉인 경우 중위투표자가 가장선호하는 규모가 결정될것이나,이것이 바람직한 수준이라는 보장이 없다. 3.정치인이나 관료에 의한 의사결정 정치인이나 관료에 의한 결..
<경제학> 내쉬균형의 개념
·
Learning-Log/Economics
내쉬전략(Nash strategy)이란 상대방의 전략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자신의 보수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말하며, 내쉬전략의 조합이 곧 내쉬균형(Nash Equilibrium)이다. 따라서 내쉬균형에서는 어떠한 개인도 자신의 전략을 변경할 유인이 없으므로 자기강제력(Self-enforcing)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