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 WSL 강제 종료하기
·
Learning-Log/Computer Science
최근 내 노트북의 vmmem 프로세스가 폭주하는 일이 잦다. CPU 점유율 90% 이상은 기본이고(최대한 끌어다 쓴다. 그래서 전체 CPU 사용률은 100%에서 유지), RAM 점유도 장난아니다. 문제의 원인은 아직 불명...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재부팅하는 방법도 좋지만, WSL을 강제로 종료해버리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 wsl --shutdown Windows Powershell 에서 위 커맨드를 입력하면 WSL이 강제 종료되어 vmmem 프로세스의 폭주를 막을 수 있다.
[도서] 요즘 읽고 있는 책 'UX 심리학'
·
Photo-Log/사진 일기
말 그대로 요즘 읽고 있는 책. 맡은 업무와 관련하여 UX/UI 디자인을 새로 잡을 필요가 있어 공부 중. 여유가 된다면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UX/UI의 비밀 모든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사람에 대한 100가지 사실 을 추가로 공부하고 싶지만... 시간상 불가능ㅋㅋ
[맥주] Punk IPA
·
Review-Log/食思味
제품명 : Punk IPA 가격 : 4캔에 11,000원 (GS25) 용량 : 330ml 원산지 : 영국(스코틀랜드) 알코올 : 5.4% 제조사 : Brewdog PLC 수입판매 : 하이트진로 4캔 11,000원의 대상인 맥주인데, 용량이 330ml이다. 즉, 비싼 녀석이다. 그래서 사봤다. 마셔보고 이유를 알았다. 밸런스가 잘 잡힌 IPA라는 생각을 했다. IPA의 쌉싸름함이 딱히 싫진 않지만 쓴 맛이 끝에서 강하게 치고 올라오면 부담을 느끼는 사람 혹은 IPA 입문자들에게 추천할 만하다. IPA치고 쌉싸름함이 다소 약한 듯하면서도 전체적인 밸런스를 고려하면 고개를 절로 끄덕이게 만든다. 과일맛과 쓴 맛이 적절히 어우러지다가 과일맛이 끝난 이후에도 쓴 맛은 계속 입 안에 맴돈다. IPA의 정체성을 지키..
Authentication(인증)과 Authorization(인가,권한 부여)에 대하여
·
Learning-Log/Computer Science
인증/인가로 불리는 그것의 정체 Authentication과 Authorization은 Back-End(server) 작업시 빼 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이 때,.Authentication은 인증, Authorization은 인가(또는 권한부여)로 보통 번역하며, 두 개를 묶어서 '인증/인가'로 부른다. 이러한 관행은 초보 프로그래머로 하여금 인증과 인가를 거의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하게 만들고, 양자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나는 인가를 '권한 부여'로 번역하는 스타일을 더 선호한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프로세스에서는 인증을 진행한 후에야 권한 부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 사이의 시간적 선후관계는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인증과 권한 부여는 ..
[CSS] 'autoprefixer: Replace color-adjust to print-color-adjust. The color-adjust shorthand is currently deprecated.' 해결방법 : autoprefixer란 무엇인가
·
Learning-Log/Computer Science
autoprefixer: Replace color-adjust to print-color-adjust. The color-adjust shorthand is currently deprecated. 1. 발단 NextJS에서 npm run dev 명령어를 입력했더니 갑자기 에러가 떴다. 에러가 뜨기 전과 비교했을 때, 내가 한 행동은 package들을 싹 최신 버전으로 갈아 엎어줬다는 정도? 패키지 버전업은 함부로 하는게 아니라는걸 다시 한 번 되새기면서 이 에러에 대해 찾아보았다. 2. 해결방법 구글링 결과 원인 및 해결책은 매우 간단했다. autoprefixer의 버전을 10.4.5로 할 것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어를 통해 다운그레이드 시켜주면 된다. 참고로 에러가 발생한 버전은..
[Windows] Zone.Identifier 란 무엇이고, 어떻게 지울 수 있나?
·
Learning-Log/Computer Science
Zone.Identifier란 무엇인가? WSL에 인터넷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복붙해서 넣으면 Zone.Identifier 가 붙은 파일이 저절로 생성된다. 어떤 경우에는 생기지 않고, 어떤 경우에는 생기는 걸로 봐서 뭔가 생성 요건이 있는 듯 한데.. 아직 거기까지는 파악을 못한 상태. Zone.Identifier에 대해 알아보니, Windows에 도입된 새로운 ADS라고 한다. ADS란 Alternate Data Stream(대체 데이터 스트림) 의 약자로 NTFS 파일 시스템에 딸려있는 숨겨진 영역이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여러가지 데이터가 담길 수 있는데, 이 ADS는 보안상 취약점이 되기도 한다. 어쨌거나 Windows에서 생성하는 Zone.Identifier에는 파일의 출처에 ..
[아키텍쳐] ARM vs AMD... 어라 그럼 Intel은 어디로..?
·
Learning-Log/Computer Science
최근 PlanetScale 이라는 서버리스 DB를 공부하고 있다. 근데 PlanetScale의 CLI를 Linux 환경에 설치하려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상황과 마주하였다. 나의 경우, 데스크탑은 AMD CPU이고, 노트북은 Intel을 쓴다. 그래서 데스크탑에서는 자신있게! amd64를 깔아왔었지만, 노트북은 이제 겨우 2달 남짓 쓴 터라 설치할 일이 그리 많지도 않았고, 그동안은 64가 붙은게 하나뿐이라 눈치껏 64 붙은 녀석으로 설치해왔는데, 이번에는 amd도 64, arm도 64다. 난관이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여태 미뤄왔던 아키텍처 부분을 조금 정리해보려 한다. 사실 amd64, arm64를 마주한 상황에서의 정확한 나의 심정은 아래와 같았다. arm은 죽었다 깨어나도 아니니 amd일 것 같은..